📅 2025년 5월 7일 경제 브리핑
✨ 오늘의 경제 요약 ✨
- ☀️ 국내 증시: 소폭 상승
- ☁️ 미국 증시: 하락 마감
- 💰 원/달러 환율: 급락 (원화 가치 상승)
- 🪙 암호화폐: 혼조세 (비트코인 소폭 상승, 이더리움/리플 하락)
- 🛢️ 국제 유가(WTI): 상승 / 주요 원자재: 대체로 안정, 금 소폭 상승
- 📦 무역수지 (지난달): 경상수지 흑자 지속 (수출입 증가)
- 🏠 주택 가격 (월간): 매매 보합, 전세 소폭 상승
- 📊 경제 심리 (월간): 소폭 개선
🇰🇷 국내 증시 동향
오늘 우리 증시는 어제에 이어 조금 더 힘을 냈습니다. 코스피 지수는 2,559.79 포인트로 마감하며 3.18포인트(0.12%) 상승했고, 코스닥 지수는 4.62포인트(0.64%) 상승하며 상대적으로 더 좋은 모습을 보였습니다. 코스피200 지수도 소폭(0.01%) 올랐습니다. 전반적으로 소폭 상승하며 관망세가 이어지는 모습입니다.
🇺🇸 미국 증시 결과
간밤 뉴욕 증시는 다소 힘이 빠진 모습이었습니다. 다우존스 지수는 0.95% 하락했고,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도 0.87% 내렸습니다. S&P500 지수 역시 0.77% 떨어지며 3대 지수 모두 하락 마감했습니다. 최근 상승에 따른 숨 고르기 장세와 함께, 기업 실적 발표를 앞둔 투자자들의 조심스러운 움직임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됩니다.
💰 주요 통화 환율 (원화 기준)
오늘 외환시장에서는 원화가 강세를 보였습니다. 특히 미국 달러 대비 원화 환율은 어제보다 55.50원 크게 하락한 1,382.00원에 마감했습니다 (원화 가치 상승). 달러뿐만 아니라 일본 엔화(100엔당 19.06원 하락), 유럽 유로화(52.33원 하락), 중국 위안화(5.85원 하락)에 대해서도 원화 가치가 모두 올랐습니다. 이는 최근 발표된 양호한 우리나라 수출 지표와 외국인 투자 자금 유입 기대감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보입니다.
🪙 암호화폐 시황
대표적인 암호화폐인 비트코인 가격은 소폭 상승하여 현재 95,500달러 선(USDT 기준)에서 거래되고 있습니다 (+0.53%). 반면, 이더리움은 1.00% 하락했고, 리플도 1.84% 하락하는 등 주요 암호화폐들의 움직임이 엇갈리는 혼조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투자자들은 시장의 방향성을 신중하게 살피는 분위기입니다.
🛢️ 주요 원자재 가격
국제유가는 다소 엇갈린 모습을 보였습니다.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배럴당 59.09달러로 3.43% 상승했고, 두바이유도 2.76% 올랐습니다. 반면 브렌트유는 1.73% 하락했습니다. 전반적으로는 공급 불안 우려가 일부 작용하며 상승 압력을 받은 것으로 보입니다. 한편, 대표적인 안전자산인 금 가격은 온스당 3,426.70달러로 소폭(0.11%) 상승했고, 은(+0.03%)과 구리(+0.12%) 가격도 약간 올랐습니다.
📦 무역수지 (지난달 잠정치)
지난달(4월) 우리나라의 수출액은 582억 1천5백만 달러, 수입액은 532억 9천3백만 달러를 기록했습니다. 이에 따라 경상수지는 71억 7천8백만 달러 흑자를 나타내며, 우리 경제의 든든한 버팀목 역할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수출과 수입 모두 전월 대비 증가하며 교역이 활발한 모습을 보였습니다. (참고: 해당 지표는 전월 집계치입니다.)
🏠 주택 가격 변동률 (월간)
지난 한 달간 전국의 주택 매매가격지수는 변동이 없었고(보합), 아파트 매매가격지수 역시 움직임이 없었습니다. 다만, 주택 전세가격지수와 아파트 전세가격지수는 각각 0.10%씩 소폭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전반적으로 부동산 시장은 매매 시장의 관망세 속에서 전세 수요는 꾸준한 것으로 보입니다. (참고: 해당 지표는 전월 대비 변동률입니다.)
📊 경제 심리 지표 (월간)
소비자들의 경제 상황에 대한 생각을 보여주는 소비자심리지수는 지난달보다 0.40포인트 오른 93.8을 기록했습니다. 기업들의 경기 전망을 나타내는 경제심리지수도 0.30포인트 상승한 87.5로 나타나, 경제 주체들의 심리가 조금씩 나아지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참고: 해당 지표는 전월 집계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