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굿모닝 경제 시황] 25년 5월 10일

 

📅 2025년 5월 9일 경제 브리핑

✨ 오늘의 경제 요약 (5월 9일 마감 및 5월 10일 오전 기준) ✨
  • 🌧️ 국내 증시 동향 (5/9 마감): 하락
  • 🌥️ 미국 증시 결과 (5/9 마감): 혼조
  • ☀️ 주요 통화 환율 (5/10 오전): 환율 하락
  • 🌥️ 암호화폐 시황 (이전 데이터): 혼조
  • ☀️ 주요 원자재 가격 (5/10 오전): 상승
  • ☀️ 무역수지 (지난달): 호조
  • 🌤️ 주택 가격 변동률 (월간): 매매 보합, 전세 상승
  • ☀️ 경제 심리 지표 (월간): 개선

🇰🇷 국내 증시 동향 (5월 9일 마감)

어제(9일) 국내 증시는 하락 마감했습니다.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2.21포인트(0.09%) 내린 2,577.27에 장을 마쳤습니다. 코스닥 지수는 더 큰 폭으로 하락하며 7.07포인트(0.97%) 내린 722.52로 마감했습니다. 미국 증시의 혼조세와 차익 실현 매물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입니다.

🇺🇸 미국 증시 결과 (5월 9일 마감)

간밤(9일 현지시간) 뉴욕 증시는 주요 지수가 혼조세로 마감했습니다. 다우존스 지수는 0.29% 하락했고, S&P500 지수도 0.07% 소폭 내렸습니다. 반면,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0.004% 강보합(사실상 변동 없음)으로 마감하며 차별화된 모습을 보였습니다. 투자자들은 경제 지표와 기업 실적을 소화하며 방향성을 탐색하는 모습을 나타냈습니다.

💰 주요 통화 환율 (5월 10일 오전)

오늘 오전 외환시장에서 원화는 주요 통화 대비 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미국 달러 대비 원화 환율은 전일보다 6.80원 내린(원화 가치 상승) 1,398.50원에 거래되고 있습니다. 100엔당 원화 환율도 1.53원 하락했으며, 유로 대비 원화 환율 역시 4.03원 내렸습니다. 간밤 미국 증시 혼조에도 불구하고 달러화가 약세를 보이면서 원화 가치가 상승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 암호화폐 시황 (이전 데이터 기준)

암호화폐 시장은 최근 강한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비트코인은 전일 대비 5.47% 급등하며 102,000 USDT 선을 넘어섰고, 이더리움은 16.54% 급등, 리플도 7.81% 상승하는 등 주요 알트코인들도 일제히 강세를 나타냈습니다. (참고: 해당 수치는 5월 9일 오전 기준 데이터이며, 실시간 시세와 다를 수 있습니다.)

🛢️ 주요 원자재 가격 (5월 10일 오전)

국제 유가는 전일 대비 상승세로 전환했습니다.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배럴당 59.91달러로 3.16% 상승했습니다. 다른 주요 원자재 가격도 일제히 상승했습니다. 금 가격은 온스당 1.15% 상승했으며, 은 가격도 0.91% 올랐습니다. 구리 가격 역시 1.06% 상승하며 강세를 보였습니다. 달러 약세와 일부 품목의 공급 우려 등이 가격 상승을 이끈 것으로 분석됩니다.

📦 무역수지 (지난달 잠정치)

지난 4월 우리나라의 수출액은 582억 1천5백만 달러, 수입액은 532억 9천3백만 달러를 기록했습니다. 이에 따라 경상수지는 71억 7천8백만 달러 흑자를 나타내며, 우리 경제의 안정적인 흐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참고: 해당 지표는 관세청 통관 기준 및 한국은행 국제수지 통계로, 전월 집계치입니다.)

🏠 주택 가격 변동률 (월간)

최근 발표된 월간 주택 가격 동향에 따르면, 전국의 주택 매매가격지수는 변동 없이 보합세를 유지했으며, 아파트 매매가격지수 역시 움직임이 없었습니다. 반면, 주택 전세가격지수와 아파트 전세가격지수는 각각 0.10%씩 소폭 상승했습니다. (참고: 해당 지표는 전월 대비 변동률입니다.)

📊 경제 심리 지표 (월간)

최근 발표된 경제 심리 지표는 다소 개선된 모습을 보였습니다. 소비자들의 경제 상황에 대한 인식을 나타내는 소비자심리지수는 전월 대비 0.40포인트 상승했으며, 기업들의 경기 전망을 보여주는 경제심리지수도 0.30포인트 올랐습니다. (참고: 해당 지표는 전월 집계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