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년 5월 9일 경제 브리핑
✨ 오늘의 경제 요약 (5월 8일 마감 및 5월 9일 오전 기준) ✨
- ☀️ 국내 증시 동향 (5/8 마감): 상승
- ☀️ 미국 증시 결과 (5/8 마감): 상승
- 🌥️ 주요 통화 환율 (5/9 오전): 혼조
- ☀️ 암호화폐 시황 (5/9 오전): 급등
- 🌧️ 주요 원자재 가격 (5/9 오전): 하락
- ☀️ 무역수지 (지난달): 호조
- 🌤️ 주택 가격 변동률 (월간): 매매 보합, 전세 상승
- ☀️ 경제 심리 지표 (월간): 개선
🇰🇷 국내 증시 동향 (5월 8일 마감)
어제(8일) 국내 증시는 상승 마감했습니다.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5.68포인트(0.22%) 오른 2,579.48에 장을 마쳤습니다. 코스닥 지수는 상대적으로 더 강한 모습을 보이며 6.78포인트(0.94%) 상승한 729.59로 마감했습니다. 미국 증시 상승과 외국인 매수세 유입 등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 미국 증시 결과 (5월 8일 마감)
간밤(8일 현지시간) 뉴욕 증시는 3대 지수 모두 상승세를 이어갔습니다. 다우존스 지수는 0.62% 올랐고,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1.07% 상승하며 강세를 보였습니다. S&P500 지수 역시 0.58% 오르며 견조한 흐름을 나타냈습니다. 금리 인상 우려 완화와 기술주 중심의 실적 기대감이 시장을 이끈 것으로 분석됩니다.
💰 주요 통화 환율 (5월 9일 오전)
오늘 오전 외환시장에서 원화는 주요 통화 대비 혼조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미국 달러 대비 원화 환율은 전일보다 7.00원 오른(원화 가치 하락) 1,405.50원에 거래되고 있습니다. 반면, 100엔당 원화 환율은 8.79원 하락(원화 가치 상승)했으며, 유로 대비 원화 환율도 2.27원 내렸습니다. 다만 위안화 대비 원화 환율은 0.54원 상승했습니다. 글로벌 달러 인덱스가 상승하는 가운데, 각 통화별 개별 요인이 작용하는 모습입니다.
🪙 암호화폐 시황 (5월 9일 오전)
암호화폐 시장이 강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비트코인은 전일 대비 5.47% 급등하며 102,000 USDT 선을 넘어섰습니다. 이더리움은 더욱 폭발적인 모습을 보이며 16.54% 급등했고, 리플도 7.81% 상승하는 등 주요 알트코인들도 일제히 강세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투자 심리가 크게 개선되며 시장 전반에 활기가 도는 모습입니다.
🛢️ 주요 원자재 가격 (5월 9일 오전)
국제 유가는 전일 마감가와 비슷한 수준에서 거래되고 있습니다.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배럴당 58.07달러로 전일 대비 1.72% 하락한 가격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다른 주요 원자재 가격은 하락세를 이어갔습니다. 금 가격은 온스당 2.53% 하락하며 낙폭을 키웠고, 은 가격도 0.53% 내렸습니다. 구리 가격 역시 1.19% 하락하며 약세를 보였습니다. 달러 강세와 글로벌 수요 둔화 우려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 무역수지 (지난달 잠정치)
지난 4월 우리나라의 수출액은 582억 1천5백만 달러, 수입액은 532억 9천3백만 달러를 기록했습니다. 이에 따라 경상수지는 71억 7천8백만 달러 흑자를 나타내며, 우리 경제의 안정적인 흐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참고: 해당 지표는 관세청 통관 기준 및 한국은행 국제수지 통계로, 전월 집계치입니다.)
🏠 주택 가격 변동률 (월간)
최근 발표된 월간 주택 가격 동향에 따르면, 전국의 주택 매매가격지수는 변동 없이 보합세를 유지했으며, 아파트 매매가격지수 역시 움직임이 없었습니다. 반면, 주택 전세가격지수와 아파트 전세가격지수는 각각 0.10%씩 소폭 상승했습니다. (참고: 해당 지표는 전월 대비 변동률입니다.)
📊 경제 심리 지표 (월간)
최근 발표된 경제 심리 지표는 다소 개선된 모습을 보였습니다. 소비자들의 경제 상황에 대한 인식을 나타내는 소비자심리지수는 전월 대비 0.40포인트 상승했으며, 기업들의 경기 전망을 보여주는 경제심리지수도 0.30포인트 올랐습니다. (참고: 해당 지표는 전월 집계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