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냉방비 지원 총정리
저소득층을 위한 시원한 여름 나기 가이드: 정부 및 공공기관 지원 사업 안내
1. 에너지바우처 (여름철 냉방비)
📌 제도 소개
에너지 취약계층이 전기, 도시가스, 지역난방, 등유, LPG, 연탄을 구입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여름철에는 주로 전기요금 차감에 사용됩니다.
지원 대상
- 소득기준과 가구원 특성기준을 모두 충족하는 가구
- 소득기준: 「국민기초생활 보장법」에 따른 생계급여, 의료급여, 주거급여, 교육급여 수급자
- 가구원 특성기준: 수급자(본인) 또는 세대원이 다음 중 하나에 해당
- 노인 (주민등록기준 1960.12.31 이전 출생자 - 만 65세 이상, 2025년 기준)
- 영유아 (주민등록기준 2019.01.01 이후 출생자 - 만 6세 미만, 2025년 기준)
- 장애인 (「장애인복지법」에 따라 등록된 장애인)
- 임산부 (임신 중이거나 분만 후 6개월 미만인 여성)
- 중증질환자, 희귀질환자, 중증난치질환자 (「국민건강보험법 시행령」에 따른 질환을 가진 사람)
- 한부모가족 (「한부모가족지원법」에 따른 지원대상자)
- 소년소녀가정 (「아동복지법」에 따른 가정위탁보호 아동 중 소년소녀가정에 해당하는 아동)
지원 금액 (2025년 기준, 변동 가능)
정확한 지원금액은 매년 보건복지부 고시를 통해 확정됩니다. 아래는 일반적인 수준의 예시입니다.
가구원 수 | 하절기 지원금액 (예상) |
---|---|
1인 가구 | 약 40,000원 ~ 55,000원 |
2인 가구 | 약 70,000원 ~ 85,000원 |
3인 가구 | 약 90,000원 ~ 110,000원 |
4인 이상 가구 | 약 110,000원 ~ 140,000원 |
신청 기간 (예상)
2025년 5월 말 ~ 2025년 12월 말
신청 기간은 매년 공고되므로, 반드시 해당 연도 공고를 확인하세요.
사용 기간 (하절기분 예상)
2025년 7월 1일 ~ 2025년 9월 30일
신청 방법
- 방문 신청: 주민등록상 거주지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주민센터)
- 온라인 신청: 복지로 홈페이지 또는 모바일 앱
2. 한국전력 전기요금 복지할인
📌 제도 소개
사회적 배려계층의 전기요금 부담을 덜어드리기 위해 한국전력에서 매월 전기요금을 할인해주는 제도입니다. 별도 신청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지원 대상
- 「국민기초생활 보장법」상 생계·의료·주거·교육급여 수급자
- 「장애인복지법」상 장애의 정도가 심한 장애인 (구 1~3급)
- 「국가유공자 등 예우 및 지원에 관한 법률」상 1~3급 상이유공자
- 「독립유공자 예우에 관한 법률」상 독립유공자 또는 수급자
- 차상위계층 (자활, 장애수당, 본인부담경감, 한부모, 우선돌봄 등)
- 3자녀 이상 가구, 대가족(5인 이상), 출산가구(3년 미만 영아 포함)
- 사회복지시설 (「사회복지사업법」상 시설)
지원 내용 (월 할인, 2025년 기준, 변동 가능)
할인금액 및 한도는 한국전력의 전기공급약관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구분 | 할인율 또는 정액할인 | 여름철(6~8월) 추가할인/한도확대 |
---|---|---|
기초생활(생계,의료) | 월 16,000원 한도 | 월 20,000원 한도 |
기초생활(주거,교육) | 월 10,000원 한도 | 월 12,000원 한도 |
차상위계층 | 월 8,000원 한도 | 월 10,000원 한도 |
심한 장애인 | 월 9,000원 한도 (또는 정률 30%) | 동일 (한도 확인 필요) |
3자녀이상/대가족/출산가구 | 전기요금의 30% (월 16,000원 한도) | 동일 한도 |
사회복지시설 | 전기요금의 30% | 동일 |
신청 방법
- 온라인 신청: 한전ON (online.kepco.co.kr)
- 방문 신청: 전국 한국전력공사 지사
- 전화/팩스 신청: 국번없이 123 (한전 고객센터)
- 행정복지센터 신청: 일부 대상(기초수급자, 차상위계층 등)은 주민센터에서 다른 복지서비스와 함께 신청 가능
3. 저소득층 에너지효율 개선사업 (냉방 지원)
📌 제도 소개
산업통상자원부 주관으로 에너지 취약계층의 주거 환경을 개선하고 에너지 비용 부담을 줄이기 위해 냉방기기(에어컨) 설치 등을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지원 대상
- 국민기초생활수급가구: 생계, 의료, 주거, 교육급여 수급가구
- 차상위계층: 관련 법률에 따른 차상위계층 확인 가구
- 일반 저소득가구: 지자체장이 추천하는 에너지 이용에 어려움을 겪는 저소득가구 (예: 에너지바우처 미수급 저소득층 등)
- 사회복지시설: 아동, 노인, 장애인 복지시설 등
지원 제외 대상 (일반적 기준)
- 주거급여 "자가" 집수리 대상가구 (수선유지급여와 중복 불가)
- LH, SH 등 공공임대주택 거주자 (단, 매입/전세임대주택은 지원 가능 여부 확인 필요)
- 최근 2~3년 이내 동일 사업으로 지원받은 이력이 있는 가구
지원 내용
- 냉방 지원: 고효율 벽걸이 에어컨 무료 설치 또는 노후 에어컨 교체
- 기타 지원 (냉방 외): 단열 시공, 창호 교체, 바닥공사, 고효율 보일러 교체 등 주택 에너지 효율 개선 공사
지원 규모 (2025년 기준, 변동 가능)
정확한 지원 금액 한도는 매년 사업 공고 시 확정됩니다.
- 가구당: 평균 300만원 내외 (에어컨 등 냉방기기 지원 포함, 시공 항목에 따라 변동)
- 시설당: 평균 1,000만원 내외 (시공 항목에 따라 변동)
신청 기간 (예상)
2025년 3월 초 ~ 4월 중순 (지자체별로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신청 기간이 짧을 수 있으니, 미리 관할 주민센터에 문의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신청 방법
- 방문 신청: 거주지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주민센터)에 문의 후 신청서 및 구비서류 제출
- 온라인 신청: 일반적으로 온라인 직접 신청은 불가능합니다.
필요 서류 (기본 예시)
- 신분증
- 지원신청서 (주민센터 비치)
- 기초생활수급자 또는 차상위계층 증명서
- 주택 소유 또는 거주 형태 확인 서류 (예: 임대차 계약서, 등기부등본 등)
문의처
- 거주지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주민센터)
- 한국에너지재단 (사업 주관기관): ☎ 1670-7653
4. [서울시] 서울에너지공사 열요금 지원 (난방비)
📌 제도 소개
서울에너지공사가 지역난방을 공급받는 공동주택 거주자 중 사회적 배려계층의 겨울철 난방비(열요금) 부담을 줄이기 위해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냉방비 지원 사업이 아닙니다.)
지원 대상 지역 (서울에너지공사 지역난방 공급지역)
- 강서구 (가양, 등촌, 방화, 화곡, 내발산, 마곡동 등)
- 양천구 (목동, 신정, 신월동 등)
- 구로구 (고척동 일부)
- 노원구 (상계, 중계, 하계, 공릉, 월계동 등)
- 도봉구 (도봉, 창동 등)
- 중랑구 (묵동, 상봉, 신내, 망우동 등)
- 의정부시 (장암동 수락리버시티 1,2단지)
정확한 공급지역은 서울에너지공사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세요.
지원 대상
- 「국민기초생활보장법」상 생계·의료·주거·교육급여 수급자
- 차상위계층 (자활, 장애수당, 본인부담경감, 한부모, 우선돌봄 등)
- 독립유공자 (본인 또는 유족 1인)
- 국가유공자, 5·18민주유공자 (1~3급 상이자)
- 장애의 정도가 심한 장애인
- 3자녀 이상 가구 (세대주 기준 자녀 또는 손자녀)
제외 대상: 60㎡ 이하 임대아파트 거주자로 이미 기본요금 전액 감면 혜택을 받고 있는 경우 등 (중복지원 불가 조건 확인)
지원 내용 (2024년 4월 ~ 2025년 3월분 난방비 기준, 매년 유사)
구분 | 월 지원금액 (2025년 변동가능) |
---|---|
기초생활수급자 | 10,000원 |
차상위계층 | 5,500원 |
장애의 정도가 심한 장애인(120㎡이하) | 5,500원 |
독립/국가/5.18유공자(상이1~3급) | 6,500원 |
지원금액은 거주 개월 수에 따라 산정되며, 신청인 명의 계좌로 지급됩니다.
신청 기간 (예상)
2025년 4월 말 ~ 2025년 5월 말 (매년 유사한 기간에 진행)
신청 방법
- 온라인 접수: 서울에너지공사 홈페이지 (www.i-se.co.kr)
- 팩스/이메일 접수
- 방문 접수: 서울에너지공사 고객서비스부 또는 동부발전운영부
- 우편 접수
문의처
서울에너지공사 고객서비스부 ☎ (02)2640-5265
5. 자주 묻는 질문 (FAQ)
Q1. 모든 냉방 지원 사업은 온라인 신청이 가능한가요?
A1. 아닙니다. '에너지바우처'나 '한국전력 전기요금 복지할인'은 온라인 신청 채널이 있지만, '저소득층 에너지효율 개선사업(에어컨 지원 등)'은 대부분 주민센터 방문 신청이 원칙입니다. 각 사업별 신청 방법을 확인하세요.
Q2. 신청하면 무조건 지원받을 수 있나요? 선착순인가요?
A2. 아닙니다. 모든 지원 사업은 정해진 예산과 지원 대상 기준이 있습니다. '저소득층 에너지효율 개선사업'의 경우, 기초생활수급자 중에서도 생계급여 수급자가 우선 지원되는 등 순위가 적용될 수 있습니다. 예산 소진 시 마감될 수 있으므로, 신청 기간 내에 빠르게 신청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Q3. '저소득층 에너지효율 개선사업'으로 에어컨을 지원받았는데 고장나면 어떻게 하나요?
A3. 지원받은 에어컨의 AS는 해당 제품 제조사의 보증기간 및 규정에 따릅니다. 에너지효율 개선사업 자체에서 별도의 AS를 지속적으로 지원하지는 않습니다.
Q4. 집에 에어컨이 있긴 한데 너무 오래됐어요. 교체 지원도 가능한가요?
A4. '저소득층 에너지효율 개선사업'의 경우, 일반적으로 8~10년 이상 노후된 에어컨은 교체 지원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다만, 매년 사업 지침에 따라 기준이 달라질 수 있으니 주민센터에 문의하여 확인해야 합니다.
Q5. LH나 SH 같은 공공임대아파트에 살아도 '저소득층 에너지효율 개선사업'으로 에어컨 지원을 받을 수 있나요?
A5. 일반적으로 공공임대주택(국민임대, 영구임대 등) 거주자는 '저소득층 에너지효율 개선사업'의 지원 대상에서 제외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전세임대주택 거주자 등 일부 유형은 지원 가능할 수도 있으니, 반드시 거주지 주민센터를 통해 해당 연도의 정확한 지원 기준을 확인해야 합니다. 반면, '에너지바우처'나 '한전 복지할인'은 거주 주택 유형보다는 소득 및 자격 기준으로 지원 여부가 결정됩니다.
Q6. 냉방비 지원 신청 시 필요한 공통 서류는 무엇인가요?
A6. 사업별로 차이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신분증, 신청서(해당 기관 비치 또는 홈페이지 제공), 지원 자격을 증명하는 서류(예: 기초생활수급자 증명서, 차상위계층 확인서, 장애인등록증 등)가 필요합니다. 임차 가구의 경우 임대차 계약서 등이 추가로 필요할 수 있습니다. 신청 전 반드시 해당 사업의 공고를 통해 정확한 구비 서류를 확인하세요.
Q7. 에너지바우처와 한전 복지할인은 중복으로 받을 수 있나요?
A7. 네, 가능합니다. 에너지바우처는 에너지 구입비용을 지원하는 제도이고, 한전 복지할인은 전기요금을 할인해주는 제도로 성격이 다르기 때문에 중복 수혜가 가능합니다. 자격 요건을 충족한다면 두 가지 혜택을 모두 받으실 수 있습니다.
Q8. 여름철 폭염 기간에 긴급하게 냉방 지원을 받을 수 있는 방법이 있나요?
A8. 폭염 기간 중에는 일부 지자체에서 '무더위쉼터' 운영, '취약계층 방문 건강관리', '폭염 긴급 물품지원' 등의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또한 긴급복지지원제도를 통해 폭염으로 인한 위기상황이 인정될 경우 생계비 등을 지원받을 수도 있습니다. 거주지 주민센터나 보건소에 문의하시면 해당 지역의 폭염 대응 지원 정보를 안내받을 수 있습니다.
6. 지자체별 추가 지원 사업
📌 지역별 특화 지원
중앙정부의 지원 외에도 각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지역 특성에 맞는 다양한 냉방비 및 에너지 복지 지원 사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주요 지자체별 특화 지원 내용을 살펴보겠습니다.
서울특별시
- 서울형 에너지바우처: 중앙정부 에너지바우처 대상에서 제외된 저소득 가구 대상 추가 지원
- 폭염 취약계층 냉방용품 지원: 독거노인, 장애인 가구 등에 선풍기, 쿨매트 등 지급
- 복지시설 냉방비 지원: 노인복지관, 장애인복지관 등 복지시설 냉방비 일부 지원
부산광역시
- 취약계층 여름철 냉방용품 지원사업: 저소득 독거노인, 중증장애인 가구 대상 선풍기 및 냉방용품 지원
- 폭염대비 에너지 취약가구 지원: 에너지 취약가구 대상 전기요금 일부 지원
대구광역시
- 폭염 취약계층 냉방비 지원: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중 노인, 장애인, 영유아 가구 대상 하절기 냉방비 지원
- 무더위 쉼터 운영 강화: 경로당, 복지관 등 무더위쉼터 냉방비 추가 지원
인천광역시
- 취약계층 에너지 복지사업: 저소득 가구 대상 에어컨 필터 청소 및 점검 서비스 제공
- 폭염 대응 물품 지원: 독거노인, 장애인 가구에 쿨스카프, 부채 등 폭염대응 물품 지원
경기도
- 경기도형 에너지바우처: 중앙정부 에너지바우처 사각지대 가구 대상 추가 지원
- 취약계층 냉방기기 점검 서비스: 저소득 가구 냉방기기 무상 점검 및 수리 지원
기타 지자체
이 외에도 각 기초자치단체(시·군·구)별로 다양한 지원 사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거주지 주민센터나 구청 복지과에 문의하시면 해당 지역의 특화된 지원 정보를 안내받을 수 있습니다.
신청 방법
대부분의 지자체 특화 지원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신청할 수 있습니다:
- 방문 신청: 거주지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주민센터)
- 전화 문의: 지자체 복지정책과 또는 에너지 담당 부서
- 온라인 신청: 일부 지자체는 홈페이지를 통한 온라인 신청 가능
지자체별 지원 내용과 신청 방법은 매년 달라질 수 있으므로, 반드시 해당 지자체의 최신 공고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7. 냉방비 절약 및 효율적 이용 팁
📌 에너지 효율적 사용 방법
지원 제도를 활용하면서도 냉방비를 절약할 수 있는 방법들을 알아보겠습니다.
에어컨 효율적 사용법
- 적정 온도 유지: 실내외 온도차 5℃ 내외가 적당합니다. 보통 26~28℃로 설정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 필터 청소: 2주에 한 번 정도 에어컨 필터를 청소하면 전력 소모를 10~30% 줄일 수 있습니다.
- 선풍기 병행 사용: 에어컨과 선풍기를 함께 사용하면 체감 온도를 낮추면서 전력 소비를 줄일 수 있습니다.
- 타이머 활용: 취침 시에는 타이머를 설정하여 2~3시간 후 자동으로 꺼지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주거 환경 개선 방법
- 차양 설치: 커튼, 블라인드 등으로 직사광선을 차단하면 실내 온도 상승을 막을 수 있습니다.
- 단열 강화: 문틈, 창틈에 틈막이 테이프를 붙여 냉기가 빠져나가지 않도록 합니다.
- 환기 시간 조절: 외부 온도가 낮은 아침이나 저녁에 환기하는 것이 효율적입니다.
- 녹색 커튼: 창가에 넝쿨식물을 키워 자연 차양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폭염 대비 건강관리 팁
- 충분한 수분 섭취: 갈증을 느끼지 않더라도 규칙적으로 물을 마십니다.
- 시원한 샤워: 미지근한 물로 샤워하면 체온을 효과적으로 낮출 수 있습니다.
- 헐렁한 옷 착용: 통풍이 잘되는 밝은 색상의 옷을 입습니다.
- 무더위쉼터 활용: 주변 경로당, 복지관, 관공서 등 무더위쉼터를 적극 활용합니다.